Rabet 2024. 9. 11. 14:02

 

- 과학 연구 절차

기존 가설 ←→ 기존에 반하는 증거

1. 새로운 가설

2. 데이터 수집

3. 가설 검정(동료검토)

4. 채택 OR 가설 업데이트

- 표본은 모집단을 위해 존재한다.

모집단 : 알고 싶은 전체 영역

표본 : 그 대상의 일부 영역

 

 

가설검정 : 표본을 가지고 가설이 진짜인지 검증 

대립가설 Η0 : 내가 주장한 가설

귀무가설 Η1 : 아무관련이 없다고 느끼는 입장 

 

- 가설 판단

통계적 검정

1. 가설 X → Y : X에 따라서 Y에 차이가 있다.

2. 차이는 기준분포가 있다면 판단이 가능하다. 

3. p-value가 0.05(5%)보다 작아야 차이가 있다고 판단한다.

p-value : 8을 기준으로 8보다 큰 분포에서 해당 하는 그래프 아래의 면적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

 

- 검정 2가지

단측 검정 : 어느 매장의 수요량이 더 큰가?

양측 검정 : 매장 간에 차이가 있나?

 

- 검정 통계량

: 검정하기 위한 차이값

검정 :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 

 

  1. t 통계량
  2. x^2(카이제곱) 통계량
  3. f 통계량